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해킹
- server side request forgery
- 암호화 실패
- SQL 쿼리문
- sql 개발자
- web shell
- owasp 2022
- sql 공부
- 보안 설정 오류
- sql 문법
- blind sql injection
- SQL
- sql join
- sql injection 공격
- 잘못된 접근 제어
- owasp 취약점
- sql injection
- web shell공격
- CSRF
- sql group by
- 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
- ssrf
- owasp 가이드
- ISMSP
- sql select
- SQLD
- SQL 자격증
- SQL ORDER BY
- sql developer
- 정보보안컨설팅
- Today
- Total
MetaCODING
ARP Spoofing 스푸핑 공격을 이용한 MITM 공격 원리 본문
ARP 스푸핑(ARP Spoofing)은 근거리 네트워크(LAN)에서
사용되는 대표적인 중간자 공격으로 두 단말 간의 통신을 속여
자신의 IP를 통해 통신하도록 만들어 중간에서 네트워크 통신 내용을
스니핑 또는 스푸핑 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.
ARP Spoofing은 서비스거부공격으로써
사용자가 평소처럼 컴퓨터를 사용가능 합니다.
이는 DOS가 아닌 스나핑이 된 것으로 IP에서 MAC주소로
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ARP Reply패킷을 변조하여 공격하는
방식이라 감염을 확인하기는 어렵다.
ARP스푸핑을 이용한 MITM 공격 원리
두 컴퓨터 간의 통신 사이에서 통신을
정상적인 것처럼 속여 데이터가 공격자를 경유하도록 유도하는 기술로써
두 컴퓨터는 정상적인 통신을 하는 것으로 인지하지만, 실제로는 공격자를 통해 패킷을 전달합니다.
즉, 공격자는 두 컴퓨터 간의 통신 내용을
스니핑(Sniffing) 혹은 스푸핑(Spoofing)을 하여 전달하고 공격을 통해 통신 내용을
도청하거나 변조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.
ARP스푸핑 공격 과정
1. ARP스푸핑(Spoofing)을 이용하여 중간자 공격을 수행할 수 있는데
이 공격으로 인해 통신 내용을 도청하거나 변조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.
공격자는 B사용자 PC에게 연결하고자 하는 A사용자 IP에
자신의 MAC주소를 포함하는 ARP reply패킷을 지속적으로 보냄
B사용자 PC는 X.X.X.10에 해당하는 IP를 자신의 ARP테이블 내 공격자의 MAC주소로 기억하죠.

2. 공격자는 두번째로 A사용자 PC에게 연결하고자 하는
B사용자 IP에 자신의 MAC주소를 포함하는 ARP reply패킷을 지속적으로 보냄
A사용자 PC는 x.x.x.20에 해당하는 IP를
자신의 ARP테이블 내 공격자의 MAC주소로 기억합니다.

3.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A,B사용자 PC들은
공격자의 MAC주소로 통신하는데, 이는 공격자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입니다.
각 A,B사용자 PC는 정상 연결로 인지하므로
공격자가 어떠한 행위를 하든 정상 패킷으로 간주하게 되죠.
4. ARP스푸핑을 이용한 위협
스니핑 기능 : 도청, 감청 등과 같이 서로 간의 통신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.
스푸핑 기능 : 중간자 공격으로 서로 간의 Packet을 원하는 것으로 수정하여 서로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.
arpspoof -i eth0 -t [GATEWAY_IP] [TARGET_IP]
- arpspoof -i eth0 -t 10.200.XX.18 10.200.XX.17
- arpspoof -i eth0 -t 10.200.XX.17 10.200.XX.18
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포워딩을 해주는 명령 실행
- fragrouter -B1
공격자와 게이트웨이가 동일한 MAC 주소임을 확인
- arp -a 피해자 PC에서 명령어를 활용하여 서버로 로그인시 노출된 ID, PW를 공격자의 wireshark에서 확인 가능
'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서비스 기반 주요 위협 XSS(Cross-Site Scripting) (0) | 2023.09.06 |
---|---|
웹 서비스 기반 주요 위협 SQL Injection (0) | 2023.09.06 |
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 Injection 공격 대응방안(2) (0) | 2023.08.31 |
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 Injection 공격 위험성(1) (1) | 2023.08.31 |
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 Injection 공격 개념 취약점 (0) | 2023.08.31 |